3월 5주차

 2023.03.30. 243호
가격인상에 치즈볼 끼워팔기까지… 교촌치킨에 소비자 화났다

교촌치킨 운영사인 교촌에프엔비가 내달 3일부터 가격 인상을 발표하자, 소비자단체가 가격 인상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29일 성명서를 내고 “교촌은 가맹점의 수익 구조 악화, 임차료·인건비·원부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불가피한 인상이라고 하지만 막대한 수익을 올리는 교촌 본사가 가맹점과의 소득분배의 책임을 지지 않고 소비자에게 부담을 떠넘기는 꼴”이라고 지적하고 “고물가 시대에 서민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켜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기 전에 ‘교촌치킨’이 가격 인상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앞서 교촌에프엔비는 지난 24일 내달 3일부터 치킨값을 최저 500원에서 최대 3000원까지 올리겠다는 인상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대표 메뉴인 간장 오리지날은 1만6000원에서 1만9000원이, 허니콤보는 2만원에서 2만3000원이 된다. 배달료(3000~5000원)를 포함하면 소비자가 치킨 1마리에 30000원을 지불해야 하는 상황이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교촌치킨의 이러한 행보는 경쟁업체인 ‘BBQ’, ‘BHC’와도 상반된다”며 “두 업체는 최근 원가인상 등의 여파로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내부적으로 가격 인상을 검토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이들은 치즈볼 끼워 팔기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업계에 따르면 ‘배민1’과 ‘쿠팡이츠’를 통해 교촌치킨 메뉴를 주문할 경우 치킨+치즈볼 세트만 살 수 있다. 치킨 단품 주문은 불가하다. ‘배민1’ 교촌치킨 메뉴를 보면 ‘허니콤보+퐁듀치즈볼’, ‘반반콤보+퐁듀치즈’ 가격은 2만5500원이다. 허니콤보 단품이 2만원, 퐁듀치즈볼은 5500원인 걸 감안하면 세트 할인이 거의 적용되지 않는 셈이다.

이에 대해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단건 배달 수수료가 높다 보니 가맹점들이 일정 마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통일했다는 것이 그 이유인데, 소비자가 최우선이어야 할 교촌치킨은 가맹점들을 위한다는 핑계로 철저히 소비자를 무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2022년 교촌에프엔비의 별도 기준 매출은 약 4988억원으로 전년 대비(4934억원) 소폭 상승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2021년 279억원에서 2022년 28억원으로 급감했다. 교촌치킨의 수익성·영업환경 악화는 원부자재·판관비 가격 인상 등으로 매출총이익이 감소한 것도 있지만 광고선전비 증가, 신사옥 신축에 막대한 영업이익 투입, 수제맥주 사업 추진 등 다양한 요소가 결합 됐다는 분석이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치킨은 대표적인 서민 먹거리로 꼽히는 음식이다. 계속되는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의 부담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며 “소비자를 무시한 채 가격 인상을 강행한다면 소비자의 외면과 신뢰추락으로 업계 2위 자리도 위태로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교촌은 가맹점들의 수익 개선이 주된 목적이라면 소비자들에게 비용부담을 전가할 것이 아니라 수익배분구조를 명확히 공개하고, 가맹본부와 가맹점간의 수익 구조개선을 통해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기타 이슈 ■
가격 인상 식당에도 이유 있었다…주요 식자재 가격 1년새 17.6% 상승
최근 식당 음식값이 잇따라 올라 서민들의 고통이 가중되는 가운데, 음식의 재료, 즉 식자재 가격도 지난 1년 사이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푸드테크 스타트업 마켓보로(대표 임사성)가 자사의 외식 사업자 전용 식자재 구매 앱 ‘식봄’에서 판매되는 식자재 2015개(SKU 기준)의 지난달 말 가격을 조사한 결과 1년 전에 비해 평균 17.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전체 상품 가운데 84.4%(1701개)가 가격이 올랐고, 값이 내린 제품은 9.4%(190개)에 그쳤다. 가격 변동이 없었던 식자재는 6.2%(124개)였다.

같은 기간 한국소비자원이 자장면, 김치찌개, 비빔밥 등 서울 지역의 8대 외식 상품 가격을 조사한 결과 1년 전보다 10.4%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값보다 식자재 가격이 더 오른 셈이다.

8대 품목 중 가장 높은 상승률(16.5%)을 보인 자장면의 식재료를 식봄에서 살펴보면 음식값 인상의 이유를 알 수 있다. 자장면에 사용되는 밀가루(제면용 20kg)는 1년 새 15.5%, 식용유(18L)는 22.0%, 춘장(볶음춘장 10kg)은 8.8% 올랐고, 양파(15kg)는 무려 182.5% 상승했다.

식당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제품인 단무지는 10.2%, 참치캔은 39.5%, 자연산 치즈는 34.8%, 멸균우유(1L)는 22.8%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스위트콘 가격은 121.2% 올랐다. 그나마 식당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식자재인 쌀(국내산 혼합미 20kg)은 풍년으로 지난해보다 가격이 6%가량 하락해 외식 사업자들의 부담을 덜어줬다.

마켓보로의 장재훈 MD 리더는 “전 세계적인 물가 상승 때문인지 식자재 가격이 계속 오르고 수급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그나마 국내산 농산물의 가격이 안정적이라 다행”이라고 말했다.

“아이스크림값 안 올립니다”…식품업계 가격 인상 망설이는 까닭
최근 롯데웰푸드로 사명 변경을 결정한 롯데제과가 내달 1일로 예정됐던 빙과류의 편의점 납품가격 인상을 보류하기로 했다. 이달초 가격 인상 계획을 보류한 CJ제일제당과 풀무원에 이어 식품업계 3번째로 가격 인상 자제에 동참한 것이다. 정부의 강력한 물가 인상 억제 기조에 ‘찍히면 안된다’는 불안감이 업계에 확산되고 있다.
28일 롯데제과 관계자는 “4월 1일부로 편의점에 적용 예정이었던 빙과류 인상을 보류하기로 잠정 결정했다”면서 “원재료값 상승 등 가격 인상 요인이 분명한 만큼 가격 인상을 철회한 것은 아니고 연기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롯데제과는 지난 1월말 스크류바, 죠스바 등 빙과류 출고가격을 기존 500원에서 600원으로 20% 인상한다고 밝혔다. 2월부터 마트와 슈퍼마켓 등 유통채널별로 순차적으로 인상된 가격이 적용됐다. 4월부터 편의점에도 오른 가격이 적용될 예정이었는데, 이를 보류키로 한 것이다.
당초 롯데제과의 인상계획대로라면 편의점에서는 스크류바, 죠스바 판매가격이 1200원에서 1500원으로 25% 오를 예정이었다.
롯데제과는 지난 23일 주주총회에서 롯데웰푸드로 56년만에 사명을 변경하기로 결정하고 내달 1일부터 바뀐 사명을 적용키로 했다. 정부의 강한 물가 인상 억제 기조 속에 기업 브랜드 이미지 관리 등 차원에서 울며 겨자먹기로 보류를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CJ제일제당은 이달초로 예정됐던 고추장과 조미료, 면류 제품의 편의점 가격 인상 계획을 보류했고, 풀무원도 생수 가격을 5% 올리기로 했다가 철회했다.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지난달 28일 식품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을 만나 올 상반기 제품 가격 인상 자제를 당부했다.
화장품 용기, 재활용이 어려운 경우 많아
친환경 소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재활용 우수제품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제도*가 도입되고 있지만, 화장품 등 소비자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제품으로 인한 환경문제는 지속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이 화장품 용기의 재활용 등급 및 표시 실태를 조사한 결과, 재활용이 쉽지 않은 ‘재활용 어려움’ 등급의 용기가 62.6%였고,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재활용 관련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 화장품 용기, 재활용 어려움 등급은 62.6%, 재활용 최우수 등급은 0.7%로 나타나현행법상 화장품은 포장재의 재질에 따른 분리배출 표시 의무가 있고, 포장재 재활용 용이성 평가를 받아야 한다*.*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제9조의3에 따라 포장재 재질․구조 평가제도 대상임.재활용 평가 등급은 ‘최우수’, ‘우수’, ’보통‘, ’어려움‘ 등 4개인데, ‘어려움’ 등급을 받으면 포장재를 변경할 경우 제품의 기능장애가 발생하는 등의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포장재에 ‘재활용 어려움’이라고 표시해야 한다.
국내 상위 15개 화장품 유통․판매업체에서 판매하는 화장품 294개 제품 용기의 재활용 용이성 등급을 확인한 결과, 62.6%(184개)가 최하 등급인 ‘어려움’ 등급을 받았고, 이어 ‘보통’ 22.1%(65개), ‘우수’ 14.6%(43개), ‘최우수’ 0.7%(2개) 순이었다.조사대상 중 재활용 어려움 등급을 받아 등급 표시 의무가 있는 제품은 156개였는데, 제도 시행 이후 생산 이력이 없거나 단종(4개), 표시 누락(4개)*된 제품을 제외한 148개가 ‘재활용 어려움’ 등급 표시를 하고 있었다.* 재활용 등급 표시 누락 제품은 현재 자율 개선 중임.‘보통’ 이상 등급을 받아 표시 의무가 없음에도 자발적으로 표시한 제품 17개를 포함해 전체 조사대상의 56.1%(165개)가 재활용 용이성 등급을 표시했다.한편, ‘최우수’, ‘우수’ 등급을 받은 45개 제품 중 재활용 등급을 표시한 제품은 8개(17.8%)에 불과했다. 표시 의무 대상이 아닌 제품도 소비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친환경 제품 구매를 독려할 수 있도록 기업 스스로 포장재 재활용 우수제품이라는 점을 적극적으로 표시할 필요가 있다.
‘3만원 치킨’ 진짜 온다…식품업계 잇단 가격인상 검토
국내 양대 치킨 프랜차이즈 중 하나인 교촌치킨이 다음달 신제품을 제외한 전 메뉴에 대해 가격인상을 단행키로 했다.

2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는 다음 달 3일부터 가격 조정에 나선다. 한 마리 및 부분육을 사용하는 주요 메뉴는 3000원 인상되며, 이외 메뉴들 역시 사이즈와 기존 가격대에 따라 500~2500원가량 인상될 예정이다.

교촌의 이번 가격 인상 단행에 대해 지난 해부터 이어진 실적 악화가 결정적 원인으로 꼽았다. 교촌에프앤비 관계자는 “가맹점 수익 구조 등 비용 부담이 누적되면서 불가피하게 가격 조정을 결정하게 됐다”고 밝혔다.

교촌의 가격 인상이 예정대로 이뤄질 경우 보통 3000~5000원인 배달료를 포함할 경우 ‘3만원’ 치킨 시대가 실제로 도래하게 된 것이다.

물가가 다시 꿈틀하고 있다.

지난 달 이후 식품 업계를 중심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가격 인상을 잇따라 검토하고 있는 것이 알려지면서 정부가 전방위적인 압박을 펼쳤지만, 각 기업들이 가격 인상을 단행하고 나선 것. 정부의 물가 관리에 허점이 드러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지난 달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4.8%)은 10개월 만에 하락세를 보이며 4%대 까지 떨어졌지만, 먹거리 물가는 예년보다 10% 이상 뛰며 소비자 부담이 커지고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물가지수는 115.45로 지난해 동월보다 7.5% 올랐다. 지난해 9월 9.0%로 30년2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은 이후 5개월 연속 하락했지만 전체 물가 상승률(4.8%)을 크게 웃돌았다. 외식물가 상승은 식당에서 파는 소주(11.2%), 라면(10.7%), 피자(10.7%) 등이 주도했다.

치킨에 이어 서민들의 인기 메뉴 중 하나인 햄버거 역시 잇따라 가격 인상에 나섰다. 버거킹이 지난 10일부터 일부 제품 가격을 평균 2% 올린데 이어 지난 달에는 맥도날드와 롯데리아가 일부 메뉴 가격을 평균 5.4%, 5.1% 각각 올렸다. 앞서 지난해 7월 가격 인상에 나선 브랜드들로, 1년이 안 돼 또 다시 가격을 올린 것이다.

빵·과자·아이스크림·생수 등 가공식품의 가격 역시 요동치고 있다.

지난 달 롯데제과는 만두 등 일부 냉동제품 가격을 5∼11% 올렸고, 빙그레·해태아이스크림도 일부 아이스크림 제품 가격을 최대 20% 올렸다. 이어 롯데칠성음료는 이달 편의점에서 파는 아이시스 8.0 상품 가격을 15% 가량 올렸고, 제주개발공사도 지난 1일 삼다수 출고가격을 9.8% 올리는 등 생수 가격도 급증했다.

편의점에서 ‘4캔 1만1000원’이던 수입 맥주도 내달부터 1만2000원으로 오른다.

이 같은 소비자물가의 급격한 상승에 대해 업계에서는 정부의 책임이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31일 전기·가스 요금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기업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질 예정이기 때문. 한국전력은 1분기 ㎾h당 13.1원 인상한 전기요금을 2분기에도 비슷한 폭으로 올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난 1분기 동결됐던 가스요금 역시 원가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또 한 번의 인상이 이어질 전망이다.

Like
소비자커뮤니케이션네트워크 CCNet

Copyright(c). 2018 Consumer Communication Network (NGO) 비영리민간단체 제2095호
www.ccnet.kr  /  Tel: 070-4207-4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