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자물가가 4개월 연속 3%대의 높은 상승률을 보이며 고물가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2020년 100 기준)는 104.69로 지난해 1월 101.04 대비 3.6% 올랐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10월 3.2% 상승하며 9년 8개월 만에 3%대로 올라선 후 11월 3.8%, 12월 3.7% 오르는 등 지난달까지 넉 달 연속 3%대를 기록했다. 소비자물가가 지속적으로 3%대 상승률을 보인 것은 2010년 9월부터 2012년 2월까지 18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을 보인 이후 10년 만이다. 고물가가 지속되는 배경으로는 유제품과 가공식품 등 공업제품부터 과일 등 농축수산물의 오름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외식 가격 상승이 전체 물가를 끌어올린 점이 지목된다. 품목별 상승률을 살펴보면 농축수산물 6.3%, 공업제품 4.2%, 전기·가스·수도 2.9%, 서비스 2.9%이다. 휘발유(12.8%), 경유(16.5%), 자동차용 LPG(34.5%), 등유(25.7%) 등 석유류 가격이 16.4% 올라 기여도 0.66%포인트로 1월 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지난해 말까지 1%대 상승률로 비교적 안정적이었던 전기·가스·수도 또한 2.9% 상승해 2017년 9월(7.9%)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다. 전기요금(5.0%)이 2017년 9월(8.8%) 이후 최대 상승했고 상수도료(4.3%)도 2008년 5월(4.4%) 이후 가장 많이 상승했다. 외식비는 5.5% 상승하며 1월 물가 상승에 0.69%포인트 기여했다. 외식 중에서도 생선회(9.4%), 쇠고기(8.0%) 등이 크게 올랐다. 보험서비스료(13.4%), 공동주택관리비(4.3%) 등 외식 외 개인서비스도 2.8% 올라 개인서비스는 3.9% 상승률을 기록했다. 한편 최근 월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3.8%로 정점을 찍은 뒤 12월 3.7%, 올해 1월 3.6%를 기록하며 두 달 연속 전달보다 줄어든 추세다. 그러나 향후 물가 상승을 부채질할 요인이 산재했다는 점에서 2월부터는 이 같은 상승률 축소 흐름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달에는 정부가 설 명절을 앞두고 역대 최대 규모로 성수품을 공급한 데다 지난해 12월 국제유가가 하락한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지난달 31일 두바이유 현물 가격이 배럴당 88달러(한화 10만5380원)를 넘기는 등 대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물가 상승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지난달 급등한 국제유가 또한 부담스런 대목이다. 오른 유가가 이달 국내 석유류 제품 가격에 반영될 경우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크게 끌어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