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부터 발생한 꿀벌 피해의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민관 전문가 협의체를 운영한다.
이번에 출범하는 ‘지속가능한 양봉산업 협의체’는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이 위원장을 맡고 생산자단체와 전문가, 관계기관 등에서 25명 내외로 참여한다.
동 협의체를 통해 해외사례를 바탕으로 한 정밀한 사육현황 조사방법을 정하는 등 정책 마련에 필요한 기초통계 구축방안을 논의하고 사육밀도 관리, 밀원수 확보방안, 농약ㆍ살충제 등이 양봉에 미치는 영향, 양봉산업의 공익적 가치 증진방안 등 중장기 발전방향과 연구개발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논의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 양봉농가는 지속적으로 봉군 내 꿀벌이 사라지거나 세력이 약해지는 피해를 겪고 있다. 2021/2022년 동절기에 이어 지난해 9~11월 월동 전 내성응애 확산으로 피해가 있었으며, 농촌진흥청 표본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2/2023년 월동 후에도 월동 전과 비교하면 17.5%의 벌이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월동 중 약 15%의 꿀벌이 소실되지만, 월동 전 피해까지 감안하면 2021/2022년 동절기보다 피해가 다소 큰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국양봉협회 등 생산자단체 등에 따르면 올 3월부터 양호한 기상여건이 지속되고 있어 농가의 꿀벌 증식은 원활히 진행되고 있다. 다만, 일부 피해가 큰 농가는 봉군 세력 회복에 집중, 봄철 채밀을 미루는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농식품부는 양봉농가의 의견을 수렴, 일시적인 경영위기에 처한 양봉농가를 위해 ‘농업경영회생자금’ 제도를 개선해 양봉농가에 저리의 정책자금을 하반기부터 지원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유관기관과 협력해 꿀벌 피해 조기 회복과 재발 방지를 위해 질병 내성성분(플루발리네이트)이 포함된 약제를 제외한 응애 방제약품을 조기에 지원했고, ‘응애 일제 방제의 날’을 운영, 적기 방제를 유도했으며, 우수농가를 선정, 분봉을 통해 농가에 봉군을 공급 중이며, 지자체별 입식비와 기자재 구입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또, 지난해 농축산경영자금을 통해 양봉 입식비를 한시적으로 지원했는데, 올해도 이를 연장해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