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햄버거·피자·치킨 안 오른게 없다…햄버거 가격은 4월 17% 급등
|
|
|
지난 4월 햄버거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7% 선을 웃돌면서 19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햄버거뿐 아니라 피자도 12%대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5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고 치킨 역시 물가 둔화세를 멈추고 8개월 만에 반등했다. 이는 주요 외식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잇따라 가격을 인상하면서다.
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햄버거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17.1%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04년 7월(19.0%) 이후 약 19년 만의 최고 상승폭이다. 아울러 햄버거 물가는 2월 7.1%, 3월 10.3%에 이어 4월 17%대로 3개월 연속 상승하고 있다.
햄버거뿐 아니다. 지난달 피자 물가 상승률은 12.2%를 기록, 2008년 11월(13.2%) 이후 14년 5개월 만의 최고 수준을 띠었다. 피자 역시 올해 1월 8.8%에서 2월 10.7%, 3월 12%로 올랐고, 지난달 소폭 더 상승하는 등 계속된 상승세를 보인다.
지난달에는 둔화세를 보인 치킨 물가도 다시 오름세다. 지난달 치킨의 물가 상승률은 6.8%로 전월보다 1.6%포인트 높았다. 치킨의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8월(11.4%)부터 올해 3월(5.2%)까지는 7개월 연속 둔화했다.
지난달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4개월 만에 3%대로 내려앉았지만, 프랜차이즈들이 주로 운영하는 햄버거, 피자, 치킨 등의 외식 물가는 고공행진 중이다. 지난달 햄버거 물가 상승률은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3.7%)의 4.6배에 달했고 피자는 3.3배, 치킨은 1.8배였다.
|
|
|
|
|
|
|
어린이 해열제 안전성 우려 확산…식약처, 콜대원키즈 상분리 현상 조사 나서
|
|
|
|
|
어린이 해열제 대표 제품들에 대한 안전성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동아제약 ‘챔프시럽’이 최근 진균 초과 검출로 자진회수에 나섰고, 대원제약 ‘콜대원키즈펜시럽’도 상분리 현상으로 소비자들을 불안에 떨게 하고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3일 콜대원키즈펜시럽에 대한 조사에 나섰다. 상분리는 두 물질이 섞이지 않고 분리되는 현상을 뜻한다.식약처 대변인은 “(콜대원키즈펜시럽) 제품은 가루인 주성분이 녹지 않은 채 액체에 퍼져 있는 혼합물 형태의 현탁 시럽제”라며 “현재 이 제품의 상분리 현상에 대한 관련정보를 인지하고 이에 대해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신속하게 검토를 마치고 결과를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어린이 해열제 1위 동아제약 ‘챔프시럽’이 자진회수에 나선 가운데 전국 각지의 인터넷 맘카페를 중심으로 콜대원키즈펜시럽에 대한 우려가 잇따르면서 식약처가 조사에 나선 것이다.
서울 지역의 한 맘카페에선 “아이가 열 나 약병에 담았는데 (액체와 가루가) 이렇게 분리된 건가요”라며 제품 안전성에 대한 의구심을 보였다.
강원 지역의 맘카페에서도 “원래 이렇게 침전물이 있나요. 검색해보니 냉장보관하면 생긴다는데, 상온보관 했어요”라며 걱정을 토로했다.
경남 지역의 한 커뮤니티에선 “상분리가 있어서 열심히 흔들어 먹이지 않으면 과소 혹은 과다복용 할 수 있어요”, “현탁액이라 해도 이 정도로 상분리 되는 건 처음 봤다” 등의 우려가 제기됐다.
콜대원은 키즈 제품은 아니지만 지난 2019년 ‘콜대원 코프에스’와 ‘콜대원 노즈에스’가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이 고온 혹은 빛에 노출되면서 당과 반응해 변색 또는 검은 침전물이 발생해 논란을 빚은 적 있다.
|
|
|
|
|
전남지역 양봉 농가에서 기르던 꿀벌 50억 마리가 실종되거나 폐사했습니다.
2년 연속 폐사율이 60%를 넘고 있는데, 정확한 원인도 모른 채 피해는 더 커지고 있습니다.
꿀벌의 집단 실종 폐사는 지난해 여름부터 간헐적으로 발생하다 올 1월 들어 본격적으로 확산했습니다.
작년에 30억 마리가 사라진 전라남도에서는 올해도 벌통 16만 개가 피해를 입어 꿀벌 50억 마리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더 큰 문제는 양봉 농가의 경우 보험적용이 안 돼 피해 회복이 어렵고, 꿀벌의 활동이 사라지면서 과수농가의 2차 피해도 우려됩니다.
최근 농림수산식품부는 꿀벌 실종 폐사 원인으로 해충인 ‘응애’로 인한 바이러스를 특정했습니다.
하지만 양봉 농가들은 기후변화로 인해 수년째 피해가 늘고 있다면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
|
|
|
|
|
본격적인 빙과성수기가 시작되면서 양강 체제가 된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와 빙그레의 경쟁구도가 뚜렷해지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웰푸드와 빙그레가 서로 다른 마케팅을 펼치며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롯데웰푸드는 ‘제로’(ZERO) 브랜드를 통해 아이스크림 시장에도 설탕 제로 시대를 주도할 예정이다.
새롭게 선보이는 제품은 ‘제로 밀크 모나카’, ‘제로 밀크 소프트콘’, ‘제로 미니바이트 밀크&초코’ 등 3종이다. 이로써 ‘제로’ 브랜드는 총 8종으로 라인업을 확대하였다. 기존 운영되던 ‘제로’ 브랜드는 과자류 4종(제로 초콜릿칩쿠키, 제로 카카오 케이크, 제로 후르츠 젤리, 제로 크런치 초코볼)과 빙과류 1종(제로 아이스초코바)이다.
제로 빙과류는 과하게 달지 않아, 뒷맛이 깔끔한 단맛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제로’는 브랜드 론칭에 앞서 별도의 팀을 구성하고 1년여의 연구 기간을 둘 정도로 공을 들이는 브랜드다.
특히, 내수시장 강화와 함께 인도 시장도 확대, 글로벌 매출에도 주력할 전망이다. 롯데웰푸드는 지난 1월 인도 자회사 하브모어 아이스크림에 추후 5년에 걸쳐 약 700억원을 투자하고, 빙과 생산 시설 설립 계획 등을 밝혔다.
빙그레는 스테디셀러 브랜드를 앞세운다. 사측은 비비빅과 메로나, 쌍쌍바 등 기존 하트상품을 트렌드에 맞는 신제품을 선보이며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특히, 빙그레가 해태아이스크림과 협업해 한정판으로 선보인 ‘쌍쌍바 with 메로나’는 지난달 말 출고 이후 2주 만에 75만개 판매실적을 기록했으며, 함께 출시한 ‘비비빅 with 바밤바’도 70만개가 판매됐다.
업계는 빙그레가 기존 유통망을 통해 해태아이스크림 제품 판매처를 확대, 올해에는 양사의 인수 효과가 본격화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한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기준 빙과 제조사의 시장 점유율은 롯데웰푸드가 43.9%로 1위를 차지했다. 뒤 이어 빙그레·해태아이스크림이 41.8%로 2위로 집계됐다.
국내 빙과 시장은 빙그레와 롯데간 양강 체제다. 빙그레는 2020년 해태아이스크림을 인수하면서 빙과시장 1위로 도약했지만 지난해 롯데제과와 롯데푸드의 합병으로 롯데가 1위를 탈환했다.
|
|
|
|
|
|
|
소비자커뮤니케이션네트워크 CCNet
Copyright(c). 2018 Consumer Communication Network (NGO) 비영리민간단체 제2095호
www.ccnnet.org / Tel: 02-3142-1993 / Fax : 02-3142-1994 |
|
|